마을관련자료

[신문기사]포털 다음이 무너지는 이유를 포털 다음만 모르고 있다

47 2024.09.11 10:56

본문

모바일 다음 '다음'(daum) 메인이 요상하게 지난 27일 개편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언론사 차별이 더 뚜렷히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다음 메인을 실행하면 '언론사'탭이 먼저 뜨고, 상단에 시사종합 부문 29곳 언론사 뉴스만 무작위로 롤링 되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문제는 이 29곳 매체가 어떤 기준과 원칙에서 선정이 됐는지에 대한 논란입니다. ​먼저 이 29곳 언론사 리스트를 볼까요?경향신문국민일보동아일보문화일보서울신문세계일보조선일보중앙일보한겨례한국일보매일경제머니투데이서울경제아시아경제이데일리파이낸셜뉴스한국경제헤럴드경제YTN뉴스1뉴시스연합뉴스연합뉴스TVJTBCKBSMBCMBNSBS채널A모바일 다음 제휴언론사다음의 콘텐츠 제휴사(CP)는 총 146개 매체입니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시사종합 부문으로 분류된 29곳 매체만 모바일 다음 가장 첫 화면 상단에 무작위로 노출되는 방식이 된 것입니다. ​이게 왜 다음 문제냐고요?​29개 매체 중 진보 언론으로 분류되는 매체는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 등 4곳에 불과합니다. ​그동안 여당(국민의힘) 일각에선 지속적으로 다음과 네이버에 진보성향 인터넷 CP 매체에 대한 퇴출 등 조치를 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또 수천개에 달하는 인터넷 신생 매체들의 뉴스가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검색 포털에 노출되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왔습니다. '가짜뉴스'패러다임을 씌워 건전하고 건강한 언론사까지 싸잡아 없애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죠. ​그런데 이런 여당과 용와대의 마음을 용케 읽었는지, 그 동안 진보 성향에 가까웠던 다음이 29곳의 언론사만 우선 노출하고, 그 중에서도 진보매체는 4곳만 다음 남기는 충성 개편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뇌피셜일 뿐이지만 그래 보인다는 거죠. ​특히 다음은 언론 설명회 때 이번 개편 방안을 설명하면서, 시사종합지만 우선 노출하겠다는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온라인 종합지로 분류하는 것이 마땅한 노컷뉴스, 오마이뉴스 분류를 '인터넷'으로 함으로써 우선 노출에서 제외시킨 점은 '다음카카오가 정치권의 압박에 굴복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더욱 키우는 요인입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한편으로는 금융당국과 검찰이 김범수 카카오 의장을 SM엔터테인먼트 인수합병 과정에서 주가조작 등의 혐의로 구속하려 하고, 시장 지배적 사업자로 지정해 규제를 덧 씌우려할뿐 아니라,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 독과점 횡포 등으로 낙인을 다음 찍는 등 전방위 압박(협박)을 하는 상황이라 카카오 입장에서도 어쩔 수 없는 극약처방을 한 것 아니겠냐는 짠한 마음이 드는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29곳 언론사를 제외한 수 많은 국내 언론사와 등을 지고서라도 회사를 지키겠다는 발상과 방향이 과연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권불십년', 권력의 힘은 길어봐야 10년 남짓일 텐데, 당장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다고 본다면 이해보다는 그래도 꼭 이런 악수를 두는 것이 맞나란 안타까움이 더 큽니다. ​수년 전 트위터(현 엑스) 창업가이자 대표직을 맡았던 잭 도시가 한국을 방문하는 행사가 있었습니다. 인터넷과 IT 기술력에 있어 상대적으로 앞서 다음 나가고 있는 한국에 미국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인물 중 한 명인 잭도시의 방한은 국내 언론사한테도 큰 관심 대상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같은 중요 행사에 모든 언론사가 다 취재를 갈 수는 없었습니다. 뭐 당연히 수백 수천 곳을 초청할 수는 없었겠죠. 그렇다 하더라도, 50~100여곳의 언론사를 대상으로 하는 여느 행사와 달리 잭 도시 방한 간담회는 10여곳 남짓 됐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 기준이 '종이 신문'을 발행하는 곳으로 한정돼 언론계에서 공분이 일었죠. 결국 조중동과 같은 레거시 미디어만 초청하겠다, 그래도 좀 이름 있는데들만 부르겠다는 계산이었던 셈이죠. 잭 도시 트위터(X) 다음 창업자물론 이 초청 대상 기준을 정한 곳이 트위터 본사다, 아태지역 사무소다, 행사를 준비한 대행사다... 여러 말들이 많았지만, 그 누가 되었든 다른 기업도 아닌 인터넷과 모바일플랫폼으로 성공을 거둔 트위터가 '종이'신문을 고집한다는 면에서 큰 충격과 뜨악함을 안겼습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수년 후 우리는 카카오의 레거시 미디어 우선주의를 다시 목도하게 됐습니다. 그 배경과 취지가 아무리 겉으로는 그럴싸 해보인다 한들, 이제 대중들은 사실 그게 어떤 이유에서 이렇게 후퇴하게 됐는지를 알아채거나 혹은 의심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다음이 독자들의 날카로운 시선을 피하고 과거로 회귀한 점은 2023년이 거의 다 다음 끝나는 현재 매우 아쉬움을 남긴 판단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이번에는 카카오가 무릎을 꿇었고, 그 다음은 네이버 차례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카카오 포털인 다음이 먼저 총대를 멧고(멜 수밖에 없었고), 아주 크나 큰 저항이 없다면 네이버도 현 정부 하에서는 다음을 쫓아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물론 네이버는 너네도 다음처럼 CP사 뉴스만 노출할 거지?란 질문에 현재 검토한 바 없다, 계획된 바 없다는 식의 답변을 했습니다. 삐뚤게 보자면 현재는 계획이 없지만, 나중엔 달라질 수 있다로 읽히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가짜뉴스도 많고, 팩트가 틀린 뉴스, 또 다음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가십성 뉴스들이 너무 많아 사회적 문제가 되는 것도 맞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독자의 알권리,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발행되는 좋은 기사들이 독자들의 손끝에도 미칠 수 없다면 결국 그 피해는 누구에게 가는 것일까요. 레스토랑(픽사베이 제공)언론사를 음식점에 비유하자면, 앞으로 우리는 김밥천국이나 푸드코트에서만 음식을 먹게되는 걸까요. ​난 오늘 맛있는 파스타가 땡기는데, 오늘은 속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해장국을 먹고 싶은데, 아이들과 유명한 돈까스 집을 가고 싶은데....하는 사람들은 이제 이런 전문 음식점에 가기 힘들어지는 건 아닐런지.​뉴스 맛집들이 서기 힘든 과거로 우리는 돌아가고 있는 건 아닌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할 다음 때입니다.​지금까지 '아날로거'였습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